fnctId=bbs,fnctNo=487 2022년 6월 단기방문(C-3) 및 전자 비자 발급 재개 2022. 6. 1. 코로나19 해외유입 차단을 위해 ’20. 4. 13.부터 잠정 중단하였던 단기방문(C-3) 및 전자 비자 발급을 ’22. 6. 1.부터 재개합니다. 양양국제공항 아시아 4개국 무사증 입국제도 도입 2022. 6. 1. 양양국제공항으로 입국하는 아시아 4개국(베트남, 필리핀, 인도네시아, 몽골) 단체관광객에 대한 무사증 입국제도를 6월 1일부터(단, 몽골은 10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제도 운영기간: ’22. 6. 1. ~ ’23. 5. 31.까지 1년간(단, 몽골은 ’22. 10. 1. ~’23. 5. 31.) 권역별 출입국 거점 마리나항 10개소 지정ㆍ운영 2022. 6. 7. 요트 등 마리나선박을 이용하여 외국으로 출국 또는 외국으로부터 입국할 때에는 반드시 10개 출입국 거점 마리나항만을 이용하여야 합니다. 2022년 5월 서울남부출입국·외국인사무소 영등포 출입국민원센터 개소 2022. 5. 2. 2022년 5월 2일부터 서울 서남권 지역에 거주하는 체류 외국인의 접근성과 편익성을 높이고자 영등포구에 출입국민원 센터를 신설하였습니다. 법무부, 제15회 세계인의 날 행사 개최 2022. 5. 20. 매년 5월 20일은 '세계인의 날(Together Day)'로서 국민과 외국인이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사회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지정된 국가 기념일입니다. 춘천출입국·외국인사무소 속초출장소 청사 이전 2022. 5. 23. 춘천출입국·외국인사무소 속초출장소가 2022년 5월 23일(월)부터 새로운 청사에서 업무를 시작합니다. (신주소: 강원도 속초시 청초호반로 189) 2022년 4월 코로나19로 중단된 재입국허가 면제 재시행 2022. 4. 1. 국가 방역체계가 개편됨에 따라 2020.6.1.부터 중단하였던 재입국허가 면제를 2022.4.1.부터 재시행 대한민국 전자여행허가제(K-ETA) 대상 국가 확대 시행 2022. 4. 1. ‘22. 4. 1.부터 대한민국 전자여행허가(K-ETA) 신청 대상 국가를 종전 50개 국가에서 96개 국가로 확대(46개국 추가) 법무부 1호 감시정 “황옥호” 취항식 개최 2022. 4. 1. ‘22. 4. 1.부터 법무부 1호 감시정 “황옥호” 운용 「제1회 외국인행정 공공데이터 활용 경진대회」개최 2022. 4.25. 창의적인 외국인행정 공공데이터 활용 방안 발굴을 위한 「제1회 외국인행정 공공데이터 활용 경진대회」 개최 2022년 소식지 '공존' 봄호(E-book) 발간 2022. 4. 28. 봄맞이 새롭게 달라진 2022년도 첫 '공존' 발간 2022년 3월 안산출입국·외국인사무소 승격 2022. 3. 21. 인천출입국·외국인청 안산출장소가 2022년 3월 21일부터 승격되어 안산출입국·외국인사무소로 새롭게 시작합니다. 2022년 2월 외국인 아동 교육권 보장을 위한 체류자격 부여 대상 대폭 확대 2022. 2. 1. 국내 체류자격 없이 체류하며 학교에 재학 중인 외국인 아동들의 교육권을 폭넓게 보장하고, 이들이 우리 사회의 구성원으로 국민과 함께 더불어 살아갈 수 있도록 학업 등을 위한 체류자격 부여 대상을 확대하는 방안을 2022. 2. 1.부터 2025. 3. 31.까지 한시적으로 시행합니다. 대구출입국·외국인사무소 신축 청사 개청 2022. 2. 10. 대구출입국·외국인사무소 신청사( 대구광역시 동구 이노밸리로 345 나라키움 대구통합청사)는 구 청사 대비 규모가 2.5배 확장됨에 따라 민원인이 보다 편리하고 쾌적하게 청사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난민 이의신청 절차 안내서 발간 2022. 2. 19. 난민불인정결정을 받은 사람, 난민인정이 취소되거나 철회된 사람에게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난민 이의신청 절차 안내서를 발간하였습니다. 「특별공로자 국적증서 수여식」 개최 2022. 2. 24. 법무부는 2022. 2. 24.(목) 11:00 법무부 대강당에서 평생을 낮은 자세로 사회적 약자를 위해 봉사하고, 대한민국 발전을 위해 헌신한 숨은 유공자들에게 대한민국 국적증서를 수여하였습니다. 법무부, 2022년 상반기 외국인 계절근로자 도입 규모 12,330명으로 확정! 2022. 2. 25. 법무부는 2022. 2. 25.(금) 서울글로벌센터 회의실에서 「외국인 계절근로자 배정심사 협의회*」를 개최하여 2022년 상반기 외국인 계절근로자 도입 규모를 확정하였습니다. 국내 거주 우크라이나인 인도적 특별체류 조치 시행 2022. 2. 28. 법무부는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라 자국 귀국이 어려운 국내 체류 중인 우크라이나인을 대상으로 현지 정세가 안정화될 때까지 인도적 특별체류 조치를 시행하기로 하였습니다. 2022년 1월 2022년 1월부터 「난민전문통역인 인증제」 시행 2022. 1. 19. 법무부는 2022년 1월부터 난민면접 과정에서의 통역품질을 향상시키고 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해, 외부전문기관의 교육 및 평가를 거친 통역인에 한하여 난민전문통역인으로 인증·위촉하는 「난민전문통역인 인증제」를 시행합니다. 아프간 특별기여자 지역사회 정착 지원을 위한 민관협력플랫폼(서포터즈) 출범 2022. 1. 20. 법무부는 1월부터 순차적으로 아프간 특별기여자들의 지역사회 정착이 시작됨에 따라, 1.20.(목) ‘민관협력플랫폼(서포터즈)’을 출범하여 이들의 성공적인 정착을 지원합니다 아프간 특별기여자 정착지원을 위한 개정 「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 시행 2022. 1. 25. “아프간 특별기여자와 그 가족의 국내정착을 지원”하는 내용의 개정된 「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이 2022. 1. 25.부터 시행됩니다. 2021년 12월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소식지 '공존' 겨울호 출간 2021. 12. 10.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소식지 '공존' 겨울호가 출간되었습니다. 단기체류외국인 숙박신고제 전면 운영 2021. 12. 22. 처음 도입된 단기체류외국인 숙박신고제가 지난 1년간의 시범운영을 거쳐 '21. 12. 22.부터 전면 운영되었습니다. (코로나19) 등록외국인 재입국허가제도 변경 운영 안내 2021. 12. 28. 코로나19 예방접종완료자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 방안의 일환으로, 등록외국인 재입국허가제도를 다음과 같이 변경 운영합니다. - 대상 : 코로나19 예방접종을 완료한 등록외국인 및 그의 미성년 자녀- 주요변경사항 : 복수 재입국허가 허용 및 수수료 면제 2021년 11월 대구출입국외국인사무소 청사 이전 2021. 11. 15. 대구출입국외국인사무소가 2021년 11월 나라키움 대구통합청사에서 새롭게 업무를 시작합니다. 주소: 대구시 동구 이노밸리로 345(신서동 1152-1) 2021년 10월 백신접종 완료한 불법체류 외국인 자진출국 시 범칙금 면제 및 입국규제 유예 2021. 10. 14. 법무부는 국내에서 2021. 12. 31.까지 백신접종을 완료한 불법체류 외국인을 대상으로 자진출국시 범칙금 면제 및 입국규제 유예 조치를 2021. 10. 12.(화)부터 시행합니다. 아프간 특별기여자 지원을 위한 ‘정부합동지원단’ 출범 21. 10. 20. 아프간 특별기여자와 그 가족의 국내정착 지원을 위한 정부합동지원단(이하 ‘지원단’)을 설치·운영하는 내용의 국무총리훈령이 제정되었으며, ’21. 11. 1.(월) ‘지원단’이 출범합니다. 2021년 9월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소식지 ‘공존’ 가을호 발간 2021.09.30. 공존 E-BOOK 확인 : https://www.immigration.go.kr/sites/immigration/file/ebook/gongzone/2021/2021_gongzone_vol57.pdf 공존 티저영상 확인 : https://www.youtube.com/watch?v=uUgqbVM96Ls 사회통합프로그램 참여자 코로나19 백신접종 시 교육시간 인정 2021. 9. 10. 코로나 19 확산방지 및 감염병 예방을 위해 사회통합프로그램 참여자가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할 시, 참여 중인 사회통합프로그램 정규교육 단계의 사회활동시간으로 인정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사칭 보이스 피싱 주의 알림 2021. 9. 6. 최근 ARS(자동응답시스템) 전화를 이용하여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를 사칭해 보이스피싱(전화사기)을 시도하는 사례들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피해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주시기 바랍니다. 2021. 9. 1. 대한민국 전자여행허가(K-ETA) 제도 본격 시행 2021. 9. 1. ‘21. 9. 1.부터 대한민국 전자여행허가(K-ETA) 신청 대상 국가 국민은 사전에 K-ETA 홈페이지(또는 모바일 앱)를 통해 24시간 전에 K-ETA를 신청하여 허가를 받아야만 한국행 항공기 탑승이 가능합니다. 맨처음 페이지 보기 12 1 2 다음 페이지 보기 맨끝 페이지 보기